본문 바로가기
유용한 생활 정보

2025년 장마기간 및 특징(ft. 제주 장마 End)

by 니케[nike] 2025. 7. 3.
728x90
반응형


안녕하세요! 니케입니다!

제주지역은 벌써 장마가 종료되었다고 하네요!
비로인해 꿉꿉하긴해도 그나마 션한 시기인데
시작도 안했는데 종료라니...
(역대 두번째로 짧은 기간이었다니!!!)

'25년 장마기간에 대해 알아볼께요!!!

🌧️ '25년 장마 기간 요약
- 제주도
시작일 ~종료일 :  6/19~7/20
  예상 기간 : 약 32일
평균 강수일 : 17.5일
평균 강수량 : 348.7mm

- 중부지방
시작일 ~종료일 : 6/25~7/26
  예상 기간 : 약 31일
평균 강수일 : 17.7일
평균 강수량 : 378.3mm

- 남부지방
시작일 ~종료일 : 6/23~7/24
  예상 기간 : 약 31일
평균 강수일 : 17일
평균 강수량 : 341.1mm

참고로, 기상청의 장마 평년값을 기반으로 한 예측한 수치라 하며, 실제 장마 시기는 기상 상황에 따라 변동 될수 있다네요.
언제나 정확한 예측이 기능할까?? ** 구라청의 오명에서***.

☔ 올해 장마의 특징
- 강수량 증가: 2025년 여름 강수량은 평년(622.7~790.5mm)과 비슷하거나 많을 확률이 각각 40%로 전망되고, 국지성 집중호우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네요.!!!

- 기온 상승: 평년(23.4~24.0℃)보다 높을 확률이 60%로, 무더운 날씨가 예상된다고 해요.으~~~ 시로시로
더위야 물럿거라 ㅋㅋㅋ

- 장마 패턴 안정: 엘니뇨·라니냐 현상이 중립 상태가 될 가능성이 높아 장마 패턴에 큰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.
여기서 잠깐, 엘리뇨,라니냐란???

1)엘니뇨 (El Niño)
정의: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.5°C 이상 높아지는 현상, (약 5개월 이상 지속)

2)라니냐 (La Niña)
정의: 적도 동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.5°C 이상 낮아지는 현상, (약 5개월 이상 지속)
먼소린지 원!!! 난 문과라고~~~ 패수

✅ 끝으로 장마철 대비 팁
- 배수 점검: 주택 주변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여 침수 피해 예방

- 우산,우비 준비: 우산,우비 항상 휴대, 갑작스러운 비 대비

- 농작물 관리: 농작물 병해충 방지와 배수로 정비 등
  농작물 관리 계획 수립

- 기상 정보 : 기상청 최신 예보,특보 수시 확인 안전 유의

이상 '25년 장마 정보와 장마철 대비에 대해
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 안녕^^

728x90
반응형